뉴스 클리핑
'박근혜 표 노동 개혁'으로 불린 노동시장 개편안에 대해 특히, 성과연봉제와 일반해고제에 대해 문재인·안철수 두 후보 측은 모두 '2015년 9월 15일 타결된 노사정위 합의안을 지키겠다'는 입장으로 수렴한다. 정의당 심상정 후 보는 성과연봉제와 일반해고제 모두에 대해 선명한 반대 입장이고,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두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가 없다. 단 유 후보는 지난 1월 <머니투데이> 정책설문 당시 성과연봉제에는 찬성, 일반해고제에는 반대에 가까운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뉴스 링크
이정미 의원,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 제한 해당 기관 5곳 지적
'박근혜 표 노동 개혁'으로 불린 노동시장 개편안에 대해 특히, 성과연봉제와 일반해고제에 대해 문재인·안철수 두 후보 측은 모두 '2015년 9월 15일 타결된 노사정위 합의안을 지키겠다'는 입장으로 수렴한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성과연봉제와 일반해고제 모두에 대해 선명한 반대 입장이고,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두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가 없다. 단 유 후보는 지난 1월 <머니투데이> 정책설문 당시 성과연봉제에는 찬성, 일반해고제에는 반대에 가까운 입장을 밝힌 바 있다.
119개 공기관 도입 1년만에 성과연봉 사실상 폐기 수순. 인터넷전문銀 산업자본 증자 文·沈 “반대” 洪·安·劉 “찬성” 케이뱅크·카카오뱅크 ‘비상’
21일 취업 포털 업체인 커리어에 따르면 최근 구직자 418명을 대상으로 ‘가장 원하는 일자리 공약’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의 29.2%가 ‘근무시간 단축’(칼퇴근제 의무화)’을 1위로 꼽았다. 이어 ‘최저 시급 1만원 이상’(25.6%)’과‘정규직 채용 의무화’(비정규직 채용 금지)’(25.1%), ‘공기업ㆍ공공기관 일자리 확대’(6.7%), ‘청년층 고용 할당제’(5.5%) 등이 뒤를 이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 등 5명의 후보들은 각자의 주요 국정공약과 이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 그리고 그 재원을 어떻게 조달할지 등을 공개했다.
5월9일 대통령선거가 끝나면 격차 사회의 핵심 원인인 비정규직 문제는 얼마나 풀릴까.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들이 전향적인 비정규직 해법을 내놓으면서 대폭적인 정책 전환을 예고했다.
<매일노동뉴스>가 노동문제 전문가 82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노동적폐 관련 설문조사에서 1·2·4위에 단결권·단체행동권·단체교섭권 실종이 꼽혔다. 24일까지 대선후보들이 발표한 노동공약을 보면 실종된 노동기본권을 회복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후보자의 정책 한눈에 비교해보세요-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