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대선 대응 사업·투쟁

o 각 정당·후보와 공공운수노조 등 정책협의, 협약
- 노조 요구안을 대선후보 정책에 반영해 차기 정권에서 실현하기 위한 사업 진행
* 심상정 후보는 이미 체결, 김선동 후보와는 예정, 문재인 후보와는 정책질의-답변 방식으로 확인
- 공공/운수부문 관련 각 후보 정책은 공식 정책공약 발표 후 비교분석하여 현장 공유
※ 양대노총 공공부문 공대위 대선 후보 대응 계획
- 본선 후보로 결정 시 정책협약 체결(예비후보시기 MOU 체결)
- 핵심 내용 : 성과퇴출제 즉각 폐기, 공공기관운영법 개정, 노정교섭 실현
* 문재인 캠프와는 사전협약(협약자 : 홍종학 문재인 캠프 정책본부장, 3.20)으로 본선 시 정책협약 체결하기로 함, 이후 공대위 차원에서 심상정 후보와 정책협약 추진
o 민주노총 대선 대응 기본방침(제65차 임시대의원대회 결정사항)

o (공공운수노조 4월 중집 결정) 대선대응 및 6월 사회적 총파업투쟁 조직화 계획
1) 대선 시기까지 후보들에게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도록 하는 정책협의와 투쟁사업을 전개한다. 이 기간 중 현장순회 등을 통해 대선 이후 민주노총의 사회적 총파업을 비롯한 투쟁 조직화 사업을 진행한다.

2) 대선 시기 노조의 요구안 부각을 위한 대 시민 선전전, 여론 사업 등을 조합원 실천사업으로 진행한다.

- (선전)사업장 출퇴근 선전전·지역거점 선전전(주1회/지역선전전은 지역본부별로 공지), 사업장 인근 현수막 게시(표준 시안 참고, 각 사업장별로)
- (교육)조합원 간담회·교육·현장순회(각급 회의 시 사전교육, 민주노총 교안 활용)
- (투쟁) 민주노총(지역별) 실천단 참여(이후 6월 사회적 총파업 조직사업 연계)
※ 공공운수노조 중앙은 소식지, 교육지원, 사회여론화를 위한 광고 등 진행
3) 공공운수노조 및 산하조직은 민주노총 방침에 따라 4월부터 집행체계를 “최저임금 1만원·비정규직 철폐·재벌체제 해체·노동법 전면 개정·공공대개혁 총파업투쟁본부”로 전환한다(예: 공공운수노조 중집위원회 개편).
4) 대선 직후 인수위 기간부터 차기정권에서 대선 시기 요구안을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 공공기관노조의 성과연봉제 즉각 폐기 투쟁,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최저임금 인상 등 민주노총 6월 사회적 총파업 참여 투쟁 등을 즉각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